
RecoilRoot recoil 상태를 사용하는 컴포넌트는 부모 트리 어딘가에 나타나는 RecoilRoot가 필요하다. 루트 컴포넌트가 RecoilRoot를 넣기에 가장 좋은 장소이다. import React from 'react'; import { RecoilRoot, atom, selector, useRecoilState, useRecoilValue, } from 'recoil'; function App() { return ( ); } Atom 아톰은 상태(state)의 일부를 나타낸다. Atoms는 어느 컴포넌트에서나 읽고 쓸 수 있다. 아톰의 값을 읽는 컴포넌트들은 암묵적으로 atom을 구독한다. 그래서 atom에 어떤 변화가 있으면 그 atom을 구독하는 모든 컴포넌트들이 재 랜더링 되는 결과..
JavaScript/상태관리
2022. 8. 17. 23:48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storybookUI
- 김민태
- vue
- 리액트
- 리액트상태관리
- TIL
- sentry
- 리액트훅
- BFCache
- 사파리
- 자바스크립트
- gitRebase
- 깃명령어
- 프론트앤드
- 모바일사파리
- 센트리
- frontend
- 프론트엔드
- reacthook
- 센트리모니터링
- npm
- CSS
- 깃
- Git
- js테스트
- javascript
- react
- 리코일
- 크롬
- j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